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스프링 컨테이너
- springboot
- list
- Spring 개발환경 설정
- 이클립스
- spring
- pom.xml
- 인터페이스
- 스프링
- DI
- 빈
- react
- merge
- JVM
- 객체
- java
- @transactional
- 자동주입
- 어노테이션
- 자바
- Spring legacy Project
- 리액트
- 깃허브
- 트랜잭션
- github
- 의존성주입
- 상속
- @Bean
- 영속성 컨텍스트
- mysql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컨테이너 (1)
DEVLOG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스프링 설정 - 1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스프링 설정파일을 applicationContext.xml 파일 대신 .java파일을 스프링 설정파일로 사용할 수 있다. .xml -> .java 변환방법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 (스프링 설정파일로 사용하겠다는 의미)과 @Bean 어노테이션(빈 객체로 사용하겠다는 의미)을 사용하며, 메소드 반환형은 .xml의 빈(Bean) 객체의 데이터타입, 메소드명은 빈(Bean) 객체의 id로 지정하면 된다. applicationContext.xml ↓ MemberConfig.java로 변환 @Bean // 메소드 반환형 : xml의 빈(Bean) 객체의 데이터타입, 메소드명 : 빈(Bean) 객체의 id public StudentRegisterService registerServ..
Spring
2022. 6. 8. 1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