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pring 개발환경 설정
- 빈
- merge
- spring
- springboot
- 리액트
- 스프링 컨테이너
- list
- 자바
- github
- 어노테이션
- 트랜잭션
- 이클립스
- DI
- @Bean
- 의존성주입
- 상속
- java
- 인터페이스
- @transactional
- mysql
- 객체
- pom.xml
- Spring legacy Project
- react
- JVM
- 스프링
- 자동주입
- 영속성 컨텍스트
- 깃허브
- Today
- Total
목록CS (3)
DEVLOG
Array란? 같은 자료형으로 그룹화한 자료구조 특징 배열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덱스를 만들 수 있음 장점 배열의 크기와 상관없이 각 인덱스의 조회시간이 빠름 단점 추가 / 삭제에 많은 비용 삭제 시 공간낭비 크기를 변경할 수 없음 배열 공간 다 차면 새 배열 생성하여 기존 데이터를 복사해야 함 충분히 큰 배열 생성 시 메모리 낭비 비순차적인 데이터의 추가 / 삭제에 많은 시간 소요 데이터 추가, 삭제 위해 다른 데이터를 옮겨야 한다. 그러나 순차적인 데이터 추가(끝에 추가)와 삭제(끝부터 삭제)는 빠르다. List란? 같은 자료형으로 그룹화한 순서를 가지는 체인 Java List Collection : Collection 인터페이스를 확장한 자료형 Vector ArrayList LinkedLis..
REST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즉, REST란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자원(Resource)을 명시하고,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를 통해 해당 자원(URI)에 대한 행위(CRUD Operation)를 나타내는 것이다. REST API REST 기반으로 서비스 API를 구현한 것 REST API 설계 기본 규칙 1. 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 한다. - resource는 동사보다는 명사를, 대문자보다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2.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GET, PUT..
선형구조 (일렬) : 배열, 연결리스트, 스택, 큐 등 비선형구조 : 트리, 그래프 등 배열 자료구조(array 연산자)란? 동일한 데이터형 변수의 집합을 의미 1차원 배열선언 규칙 정수형 배열 크기를 지정 Ex. int a[5] 배열의 특징 - 메모리(RAM) 상의 연속적인 공간에 할당된다 (RAM : Byte 단위로 주소가 매겨져 있다, Ex. int크기 : 4Byte -> 0번방 100번지, 1번방 104번지, ...) - 배열명은 곧 그 배열의 시작 주소 상수이다 (Ex. a=100번지) - 배열 요소는 첨자로 구분하며, 첨자는 0(zero)부터 시작된다 1차 배열 초기화 - 배열 전체 초기화는 배열 선언문에서만 가능하다 - 초기화 데이터는 중괄호로 묶어준다. Ex. int a[4]=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