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LOG

의존객체 자동 주입 본문

Spring

의존객체 자동 주입

BINTHEWORLD 2022. 6. 7. 10:54

의존객체 자동 주입이란?

스프링 설정 파일에서 의존 객체를 주입할 때 <constructor-arg> 또는 <property> 태그로 의존 대상 객체를 명시하지 않아도 스프링 컨테이너자동으로 필요한 의존 대상 객체를 찾아서 의존 대상 객체가 필요한 객체에 주입해주는 기능이다.

구현 방법은 @Autowired@Resource 어노테이션을 이용해서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방법1. @Autowired 

주입하려고 하는 객체의 타입이 일치하는 객체를 자동으로 주입한다. 생성자, 프로퍼티, 메소드 모두 사용 가능하다.

 

프로퍼티나 메소드에 @Autowired 어노테이션 사용을 한다면 반드시 디폴트 생성자를 명시해줘야 한다. 그 이유는 파라미터가 있는 생성자가 실행될 때 파라미터인 객체를 찾지 못하므로 에러가 나기 때문이다.

WordSearchServiceUseAutowired.java

public class WordSearchServiceUseAutowired {
	// 자동주입
	@Autowired
	private WordDao wordDao;
	
	// 프로퍼티와 메소드에 @Autowired 사용한다면 디폴트 생성자 반드시 명시해줘야 함.
	public WordSearchServiceUseAutowired() {
		
	}
	
	public WordSearchServiceUseAutowired(WordDao wordDao) {
		this.wordDao = wordDao;
	}
	
	public WordSet searchWord(String wordKey) {
		if(verify(wordKey)) {
			return wordDao.select(wordKey);
		} else {
			System.out.println("WordKey information is available.");
		}
		
		return null;
	}
	
	public boolean verify(String wordKey){
		WordSet wordSet = wordDao.select(wordKey);
		return wordSet != null ? true : false;
	}
	
	public void setWordDao(WordDao wordDao) {
		this.wordDao = wordDao;
	}
	
}

appCtxUseAutowired.xml

<constructor-arg> 또는 <property> 태그 사용하지 않고, 각 클래스파일에서 @Autowired 사용으로 의존객체 자동 주입 

<!-- WordSearchServiceUseAutowired 클래스파일에 @Autowired로 의존객체 자동 주입 -->
<bean id="searchService" class="com.word.service.WordSearchServiceUseAutowired">
	<!-- 
    <constructor-arg> ... </constructor-arg>
    <property>...</property>
    -->
</bean>

MainClassUseAutowired.java

스프링 컨테이너 파일 경로를 @Autowired 사용 파일로 변경

public class MainClassUseAutowired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Autowired 어노테이션 사용 시 appCtxUseAutowired.xml로 스프링 컨테이너 설정
		GenericXmlApplicationContext ctx = 
				new GenericXmlApplicationContext("classpath:appCtxUseAutowired.xml");
		
		WordRegisterServiceUseAutowired registerService = 
				ctx.getBean("registerService", WordRegisterServiceUseAutowired.class);
		for (int i = 0; i < values.length; i++) {
			WordSet wordSet = new WordSet(keyWords[i], values[i]);
			registerService.register(wordSet);
		}
        
		...
	}
	
}

방법2. @Resource

주입하려고 하는 객체의 이름이 일치하는 객체를 자동으로 주입한다. 생성자에 사용 못하고, 프로퍼티 또는 메소드만 사용 가능하다.

 

@Autowired 어노테이션처럼 프로퍼티나 메소드에 @Resource 어노테이션을 사용한다면 반드시 디폴트 생성자를 명시해줘야 한다. 그 이유는 파라미터가 있는 생성자가 실행될 때 파라미터인 객체를 찾지 못하기 때문이다.

 

출처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D%94%84%EB%A0%88%EC%9E%84%EC%9B%8C%ED%81%AC_renew 

 

자바 스프링 프레임워크(renew ver.) - 신입 프로그래머를 위한 강좌 - 인프런 | 강의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본부터 실전 사용법까지! 충실하고 폭넓은 설명과 예제를 통해 현장에 바로 투입되어 활약하는 개발자로 거듭나세요., - 강의 소개 | 인프런...

www.inflearn.com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명주기(Life Cycle)  (0) 2022.06.07
의존객체 선택  (0) 2022.06.07
스프링 설정 파일 분리  (0) 2022.06.06
다양한 의존 객체 주입 방법  (0) 2022.06.06
DI(Dependency Injection) : 의존성 주입  (0) 2022.06.04
Comments